보도자료

HOME > 알림마당 > 보도자료

제목
대·중기 자발적 상생모델 지속 발굴... ‘소·부·장 강국’ 으로
작성자
master
작성일자
2021-05-03
조회수
778

대·중기 자발적 상생모델 지속 발굴... ‘소·부·장 강국’ 으로

 

- ‘제7차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 개최(5.3) -

□ 상생협의회를 통해 전기차‧이차전지‧액화천연가스(LNG)터빈‧광학센스 분야 상생모델 발굴하고 ‘24년까지 50개 확대 선정

□ 반도체 장비분야 국산화 우수기업 ‘주성엔지니어링’ 방문‧격려

 

□ 권칠승 장관, 소부장 강국을 위한 대‧중기간 협력생태계 구축 의지 밝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5월 3일(월) 경기 용인 소재의 주성엔지니어링에서 소부장 중소기업 대표들과 위원들이 참여하는 ‘제7차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7차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 개요>
 
ㅇ (일시/ 장소) ‘21.5.3(월), 10:00~11:30(90‘)/ 주성엔지니어링 R&D센터(경기도 용인)
 
* 주성엔지니어링 : 벤처로 시작하여 반도체 장비 등을 제조, 소부장 부문을 선도하는 중견기업
 
ㅇ (참석자)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상생협의회 위원, 중소기업 대표 5인 등 10여명
 
이번 7차 회의는 권칠승 장관 취임 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회의로 권 장관은 ①일본 수출규제(’19.7월) 이후 정부의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19.8월)과 소부장 2.0 전략(’20.7월)을 ‘21년 중기부 소부장 지원계획과 연계해 현장을 점검하고, 협의회에서는 ②이차전지 등 4건의 상생모델에 대한 집중 논의가 이뤄졌다.
 
심의된 총 4건의 상생모델*에 대해서는 상생협의회에서 기술개발, 정책자금, 규제개선 등 정부 지원을 건의하기로 의결했다.
* 상생모델 : 대기업이 필요로 하고 국내 중소기업에서 개발·생산이 가능하면서 중소제품의 판로가 대기업으로부터 보장되는 품목
<7차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 소부장 상생모델 특징>
 
① 수요 대기업‧중소기업 간(중기 5개사와 대‧공기업 10개사) 업무협약‧비밀유지협약 체결, 연구개발‧판로보장 등을 통해 국내 공급망 구축과 해외 판로 확보가 가능

② 4건 모두 일본‧독일 등 수입 의존비율이 매우 높아(95∼100%) 국산화와 기술자립이 시급하며, 대‧공기업의 국산화 의지가 높아 상용화가 가능한 과제
 
③ 중소기업 자체기술 보유와 대기업 요구 반영, 실증 테스트 기회를 제공
 
상생협의회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21년 중점 추진 중인 중기부 소부장 지원계획 점검
 
중기부는 2021년 소부장 분야 지원계획을 논의했다. 현재 관계부처와 함께 소부장 2.0 전략(’20.7월)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소부장 유망기업의 창업과 성장,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등을 지원하고 있다.
 
‘19년부터 시작된 지원을 통해 성공사례들도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 등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았던 핵심소재의 국산화, 협력 생태계 구축 등이 이뤄지고 있다.
 
중기부는 소부장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지금까지 ’소부장 스타트업‘ 20개사와 ’소부장 강소기업‘ 100개사를 선정했고, 소부장 중소기업에 정책자금 중점지원과 특례보증 1조원을 지원하고, 유망기업에 중점 투자하는 벤처 전용펀드 1,300억원도 조성했다.
 
앞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을 고려해 ‘소부장 강소기업 100’을 올해 하반기부터 추가 선정할 계획이며 ‘소부장 스타트업 100’ 사업은 4월 말까지 올해 지원신청을 접수 받아 20개 창업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② 소재부품장비 상생모델 50개까지 선정
 
중기부와 상생협의회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현장의 수요를 반영해 대·중소기업 간 자발적인 협력이 이뤄지는 상생모델을 발굴 중으로 현재까지 9건*의 상생모델을 정부(소부장 경쟁력위원회)에서 승인받았고, 이번에도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에서 상생모델 4건을 추가 발굴했다.
 
* 승인된 9건의 상생모델(반도체(3), 전기전자(3), 기계금속(3)) 경우 국산화 성공시에 향후 5년간 매출 2,000억원, 투자 370억원, 고용 270명 창출 예상
특히 올해부터 승인된 상생모델에 대해 중소기업 기술개발(R&D)사업에 반영해 정책 지정과제로(1개 상생모델 당 최대 20억원) 진행할 예정이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상생협의회 등을 통해 상생모델을 향후 50개까지 수시로 발굴할 예정이다.
구분현행‘21년 개선(정책지정과제)
선정방식상생협의회 → 경쟁력강화위원회 →
중기부 R&D 평가 → R&D 선정
상생협의회 → 경쟁력강화위원회 →
R&D 즉시 선정
지원규모6억원20억원 까지
우대사항우대가점 5점 등(추가) 졸업제 제외, 동시수행과제 미적용
매출액 기준 미적용, 청년의무고용 제외 등

 
이러한 다양한 상생모델 발굴 노력은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와 함께 국내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 수요기업의 공급망 안정, 가격경쟁력 확보 등 기업 간 상생협력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칠승 장관은 “최근 코로나19 지속, 미·중 무역 갈등,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외환경의 변화로 인해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서라도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적극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목표가 소부장 핵심품목의 기술 자립화 등 ’기술 독립‘ 이였다면 앞으로는 더 나아가 세계를 주름잡는 ’소부장 강국 도약‘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소부장 협력 생태계 구축은 필수적이다”라고 육성 의지를 표명했다.
 
또한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 황철주 위원장은 ”상생협의회가 중심이 돼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연결시켜 줌으로써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회의 종료 후 권칠승 장관을 포함한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 위원들은 주성엔지니어링 연구개발(R&D)센터의 반도체 장비 제조‧가공설비를 시찰하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의 연구성과를 점검하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본문 바로가기